티스토리 뷰
최근 공인중개사 수수료와 임장비 도입 논란으로 인해 부동산 직거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
오늘은 부동산 직거래 방법부터 법무사 수수료와 중개수수료 비교까지 알려드릴게요.
부동산 직거래, 왜 할까요?
- 중개수수료 부담: 6억 원 매물만 해도 수백만 원
- 임장비 도입: 집만 보러 가도 비용?
- 정보 접근성 증가: 실거래가, 등기부등본 쉽게 조회 가능
이런 이유로 직거래 플랫폼을 활용해 매도·매수자가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 늘고 있어요.
부동산 직거래 절차 한눈에 보기
✅ STEP 1: 직거래 매물은 어디서 찾을까?
- 피터팬의 좋은방 구하기 – 직거래 전문
- 당근마켓 – 지역기반, 직거래 가능
✅ STEP 2: 매물 검증 및 현장 방문
- 등기부등본 열람: 인터넷등기소 바로가기
- 건축물대장 / 토지이용계획: 정부24에서 확인
- 실거래가 조회: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
- 계약 상대가 소유자 본인인지 신분증 + 인감증명서 확인
- 계약금은 반드시 계좌이체로 입금 증거 남기기
- 세입자 유무 확인: 전입세대 열람 필요
- 매매가, 주소, 구조, 면적, 계약금/잔금 일정
- 특약사항: 하자보수, 잔금일, 입주일 등
- 위약금 조항 반드시 포함
- 취득세: 1.1~4.6% (1주택자 기준 1.1%)
- 인지세: 거래금액에 따라 7.5만~15만 원
- 등록면허세: 약 0.8~1.2%
- 등기 이전 대행: 서류 복잡한 등기 처리 가능
- 취득세 신고 대행: 지자체 세금 신고까지 원스톱
- 전문가 자문 가능: 계약 전 서류 검토
- 직거래는 비용 절감에는 확실한 방법
- 등기부등본, 건축물대장, 계약서 등 서류는 직접 꼼꼼히 확인
- 법무사 활용 시 안전성과 편의성 상승
✅ STEP 3: 계약 전 체크사항
✅ STEP 4: 매매계약서 작성
표준 부동산 매매계약서 사용 권장 (국토부/주민센터 제공)
✅ STEP 5: 등기 이전 – 법무사 수수료는?
항목 | 중개수수료 | 법무사 수수료 |
---|---|---|
계산 방식 | 매매가 × 0.3~0.9% | 정액제 (건당) |
9억 아파트 기준 | 810만 원 (0.9%) | 약 30만 ~ 40만 원 |
6억 이하 | 약 180~270만 원 | 약 20~30만 원 |
비용 차이 | 보통 10배 이상 차이 |
💡 법무사 수수료는 거래 금액보다 업무 난이도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, 보통 30~40만 원 선에서 등기이전 대행 가능해요.
✅ STEP 6: 취득세 등 세금 납부
✔️ 세금 신고도 법무사에게 함께 맡기면 간편합니다.
💡 계약은 반드시 계좌이체로, 소유자 본인 여부 확인도 꼭 하세요!
✅ 법무사 수수료 vs 중개수수료 비교
항목 | 중개수수료 | 법무사 수수료 |
---|---|---|
6억 매매 시 | 180만 ~ 270만 원 | 약 25만 ~ 30만 원 |
9억 매매 시 | 최대 810만 원 | 약 30만 ~ 40만 원 |
세금 신고 포함 | × | 법무사 대행 가능 |
📌 중개수수료는 수백만 원대, 법무사 수수료는 10분의 1 수준이지만, 법률적 자문은 제한적일 수 있어요.
✅ 법무사에게 맡기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?
💡 비용은 평균 30만~40만 원, 지역·업무 난이도에 따라 달라져요.
처음이 어렵지, 한 번 해보면 다음은 훨씬 수월하실 거예요!
#부동산직거래 #직거래하는법 #법무사수수료 #중개수수료비교 #등기이전방법 #표준계약서 #피터팬직거래 #부동산임장 #직거래플랫폼 #네이버부동산